[오늘의 역사] 3월 19일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불바다가 되고 말아요" (2025)

오늘의역사

[오늘의 역사] 3월 19일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불바다가 되고 말아요"

옛날PD 2025. 3. 19. 0:10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신고하기

- 북한 대표 조국 평화통일 위원회 서기국 부국장 박영수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불바다가 되고 말아요. 송 선생도 살아남기 어려울 거예요. 여기에 대해서 심사숙고해야 합니다""

- 남한 대표 통일원 차관 송영대 :

"그걸 말이라고 합니까? 아니 우리가 가만히 있을 것 같아요? 전쟁 선언하는 겁니까?"

1994년 3월 19일, 남북 특사 교환을 위한 8차 실무접촉 대화 중

역사 속 오늘, 1994년 3월 19일은,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남북 특사교환을 위한 '8차 실무접촉 - 차관급 회담'이 있었던 날입니다. 그리고 이 자리에서 소위 '사울 불바다' 발언이 있었습니다.

남북 특사 교환을 위한 8차 회담 1994년 3월 19일 @국가기록원DB

북한은 이미, 1955년부터 김일성 종합대학에 핵물리학과를 설립하고, 핵무기 개발에 들어갔습니다. 1965년엔 연구용 원자로를 도입하고, 1980년대엔 핵물질 생산 시설을 구축했습니다. 이에 IAEA는, 1992년부터 북한 핵 시설에 대한 사찰을 실시했고... 특히 영변의 플루토늄 재처리 시설에 주목합니다. 그리곤 IAEA는 영변의 핵시설에 대한 '특별 사찰'을 요구합니다.

@한겨레신문 2019.10.19

북한은, 이런 분위기 속에, 1993년 3월 12일, IAEA의 사찰 요구를 거부하고, 1985년 가입했던 핵확산 금지조약, NPT 탈퇴를 선언합니다. NPT는 1968년 UN 군축위에서 만든 조약으로, 기존 핵무기 비보유국이 새로 핵무기를 보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약입니다. 북한은 NPT에 가입했다 탈퇴한 전세계 유일한 국가가 됩니다. 그리고 서방은, 이를, '북한이 핵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북한 입장에서 보면, 당시의 국제정세도 북한에겐 혼돈 그 자체입니다. 1991년엔 소련이 갑자기 붕괴되고, 동구권 국가들도 소비에트 연방을 탈퇴하기 시작합니다. 결정적으로 오랜 북한의 혈맹이던 '중국'과 '베트남'이 1992년, 남한과 수교 하게 됩니다. 북한이 느꼈을 배신감은 대단했을 겁니다. 이에 북한도 '이제는 스스로 살아 남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지요. NPT를 탈퇴하며, 전군에 준전시 상황을 전파하고, 무장을 준비시킵니다. 주민들은 방공호 대피 훈련도 실시합니다.

상황이 이에 이르자, 남북한은, 특사 교환을 위한 실무 접촉을 시작했지만, 재개와 중단을 반복했습니다. 이런 분위기에서 나온 발언이 북측 대표, 박영수의 '서울 불바다 발언'입니다.

서울 불바다 발언 관련 기사 @동아일보

이에 우리 사회도 큰 충격에 빠집니다. 슈퍼에는 쌀과 생수, 그리고 라면과 같은 생필품 사재기가 일어납니다. 이 와중에, 미국은 그해 6월, 영변 핵시설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고, 그 중에는 영변 핵시설에 대한 폭격도 들어있었답니다. 이에 대해 김영삼 대통령은 회고록을 통해 '내가 만약 클린턴 대통령의 북폭 계획을 막지 않았다면...'이라고 했다고 하네요. 실제로 미국은 북한에 대한 폭격을 생각하고 있었고, 김영삼 대통령이 그 생각을 막아야 할 정도로 일촉즉발의 상황이었던 모양입니다. ㅠㅠ 정부도 북한의 도발에 대한 즉각 대비 태세에 들어갑니다. 우리 사회에 주적 논란이 시작된 것도 이 시기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은 남북한을 오가는 중재 노력을 합니다. 그 결과 1994년 10월 21일, 제네바에서 기본 합의서가 체결되며 이번 사태는 일단락됩니다.

2000년 6월 13일, 평양 순안비행장의 김정일 위원장과 김대중 대통령 @경향신문

그리고.... 2000년 6월,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과의 '6.15 남북 공동성명'이 있었지만... 북한은 핵무기 개발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결국, 2006년 첫 핵실험을 시작으로, 2009년, 2013년, 2016년, 2017년 핵실험을 계속해 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엔 김정은이 핵탄두를 공개하기도 했고, 영변을 방문하여 핵무기 개발 완료를 공식화 하기도 했습니다.

3월 19일

국내

  • 1619년 (조선 광해11) : 후금과 조선-명나라 연합군, 부차(富車, 후금의 수도 허투알라 부근 들판) 전투, 강홍립이 이끄는 조선군, 7천여 명 죽고, 4천여 명 후금에 투항

  • 1921년 : 화가 나혜석(24세) 개인전 개최

  • 1944년 : 첼로 연주자, 정명화 태어남

  • 1952년 : '광무 신문지법' 폐지안 국회 통과, '광무 신문지법'은 1907년 7월 24일 공포된 신문 잡지 등 정기 간행물에 대한 행정 규제와 형사제재 규정한 최초의 언론 관련 법, 경술국치 뒤 일제가 이 법을 민족 언론 탄압 도구로 사용

  • 1962년 : 원자력 연구소, ‘제3의 불’ 점화 실험 성공

  • 1969년 : 박정희 정부, 외자 도입 한도제 실시 결정

  • 1973년 : 3급 행정직 시험에 여성 첫 합격, 전재희

  • 1974년 : 경남 창원서 '성산 패총' 발굴

  • 1975년 : 휴전선 부근서 북한의 제2땅굴 발견

  • 1975년 : 외국인 상대 반국가 언동을 규제하는 형법 개정안 국회 통과

  • 1977년 : 서울시 4대문 안 한옥 940채 중 17채를 지방 문화재, 민속자료로 지정

  • 1991년 : 한국 화학연구원, 이해방 박사 인슐린 피부 투여 법 세계 최초 개발

  • 1992년 : 노태우 정부, 대북 경제 협력 창구 일원화

  • 1992년 : 노태우 정부 재무부, 한국 노총이 추진한 노동은행 인가

  • 1992년 : 이승만 대통령 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리(92세) 세상 떠남

  • 1993년 : 김영삼 정부,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75세), 42년 7개월 만에 판문점 통해 북으로 돌려보냄, 이인모는 북한 인민군 종군기자로 지리산 빨치산 되어 선전 신문, '경남 노동 신문' 만듦, 1952년 12월 체포되어 34년간 복역 후 1988년(70세) 석방, 2007년 북에서 세상 떠남(89세)

  • 1994년 : 대검 중수부, 한호선 농협 회장 업무상 횡령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 기소

  • 1994년 : 김영삼 정부 시절, 북한의 핵확산 금지조약 해결을 위한 특사교환 8차 실무접촉 박영수 북측 단장의 전쟁불사 - ‘서울 불바다’ 발언으로 완전 결렬. “서울은 여기서 멀지 않아요. 서울은 불바다가 될 겁니다” / 이에 남측 대표는 선전포고를 하는 것이냐며 항의 / 이병태 국방장관은, 서울 ‘불바다 발언’은 경제 위기에 흔들리고 있는 북한 내부 위기 통제하면서 미국으로부터 최대의 양보 얻어내고 남한 내부 흔들려는 대남 심리전이라고 분석

  • 1996년 : KEDO, 한국전력을 대북 경수로 주계약자로 지정

  • 1996년 : 롯데백화점, 백화점 업계 처음으로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 1997년 : 서울대학교 벤처기업, 에이즈 치료 유전 물질 개발

  • 1997년 : 삼미 그룹 부도

  • 1999년 : 서울시, 버스 토큰 판매 금지

  • 2004년 : 다큐멘터리 사상 최초로 선댄스 영화제 '표현의 자유상' 수상한 '송환'. 송환은 김동원 감독 작품으로 비전향 장기수 문제를 다룬 영화

  • 2006년 : 제5차 1단계 6자 회담, BDA 해결책 나오지 않아 휴회

  • 2010년 : 카카오톡 서비스 시작

  • 2014년 : 동북아역사재단, 일제 식민사관 답습한다고 주장하며 '식민사학 해체 국민운동 본부' 발족

  • 2020년 :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 규모 600억 달러, 기간 6개월

해외

  • 721년 :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 개기 월식 최초로 사서에 기록

  • 1279년 : 애산 전투, 원 나라가 남송 멸망시킴

  • ​1406년 : 중세 이슬람 역사가·정치가, 이븐 할둔 세상 떠남(73세) 주요 저서 『역사 서설』

  • 1900년 : 기원전 16세기 그리스 크노소스 궁전 발굴

  • 1970년 : 빌리 브란트 서독 총리 - 빌리 슈토프 동독 총리, 동독의 에르푸르트에서 동서독 분단 후 첫 정상회담

  • 1978년 : 유엔 안보리, 레바논에 평화 유지군 파견 결정

  • 1995년 : 미국 우주왕복선 엔데버호 16일 15시간(1,100만 km) 최장 우주 체공 기록

  • 1997년 : 액션 페인팅·바이오 모픽 아트의 대표자, 네덜란드 추상표현주의 화가, 빌럼 데 쿠닝 세상 떠남(93세)

  • 1998년 : 인도 연립 정권 출범, 총리 바지파이​

  • 2003년 : 미국 주도 다국적군, 이라크 침공. 우리나라는 4월 2일 이라크 파병 결정, 미국은 8년 9개월 만인 2011년 12월 완전 철수, 연합군 4,802명 사망, 이라크 민간인 사망 113,700여 명, 이라크 전쟁난민 160만 명, 전쟁비용 8,019억 달러​

  • 2013년 :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1세(아르헨티나 출신 추기경, 76세) 취임, 1,282년 만에 첫 비유럽권 교황

  • 2017년 : 세인트 루시아 시인, 데렉 월컷(87세) 세상 떠남, 서사시 ‘오메로스’로 1992년 노벨문학상

  • 2018년 : 미국에서 자율주행차에 의한 첫 보행자 사망

  • 2019년 : 30년 장기 집권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79세) 카자흐스탄 대통령 스스로 물러남

#오늘의_역사 #3월_19일 #NPT탈퇴선언 #서울_불바다_발언 #북한_핵개발 #전쟁위기

공감이 글에 공감한 블로거 열고 닫기

댓글7 이 글에 댓글 단 블로거 열고 닫기

인쇄

[오늘의 역사]   3월 19일 - "여기서 서울이 멀지 않습니다. 전쟁이 일어나면 불바다가 되고 말아요" (2025)
Top Articles
Latest Posts
Recommended Articles
Article information

Author: Tuan Roob DDS

Last Updated:

Views: 6049

Rating: 4.1 / 5 (42 voted)

Reviews: 89% of readers found this page helpful

Author information

Name: Tuan Roob DDS

Birthday: 1999-11-20

Address: Suite 592 642 Pfannerstill Island, South Keila, LA 74970-3076

Phone: +9617721773649

Job: Marketing Producer

Hobby: Skydiving, Flag Football, Knitting, Running, Lego building, Hunting, Juggling

Introduction: My name is Tuan Roob DDS, I am a friendly, good, energetic, faithful, fantastic, gentle, enchanting person who loves writing and wants to share m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ith you.